취미생활/야구
-
세이브에 대하여취미생활/야구 2024. 8. 19. 15:50
세이브는 한 팀에서 가장 뛰어난 구원투수인 마무리투수만이 기록할 기회를 얻게 되는 수치이다.기본적으로 세이브라고 하면 '3점 차이 이내에서 9회 등판하여 승리로 경기 마무리' 정도로만 알고 있지만, 이 외에도 세이브를 기록할 수 있는 상황이 많다. 세이브의 조건KBO에서 매년 발간하는 야구 규칙에 따르면 구원투수의 세이브 요건은 다음과 같다. 다음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시킨 투수에게는 세이브의 기록이 주어진다.(a) 자기 팀이 승리를 얻은 경기를 마무리한 투수(b) 승리투수의 기록을 얻지 못한 투수(c) 다음 중 어느 것이든 해당되는 투수 (1) 자기 팀이 3점 이하의 리드를 하고 있을 때 출전하여 최소한 1이닝을 투구하였을 경우 (2) 베이스에 나가 있는 주자 또는 상대하는 타자 또는 그 다음 ..
-
한화 이글스의 5연승과 과거의 연승들취미생활/야구 2023. 6. 28. 00:25
오늘(2023년 6월 28일), 한화 이글스는 5연승으로 1005일만의 5연승을 기록하게 되었다. 5연승이 1000일만이라는 것이 어메이징하지만, 3년 연속 10등을 박았으면 그럴 수 있다고 본다. 근데 5연승은 20년에 했는데? 아무튼 그렇다면 이글스의 마지막 6연승은 언제일까? 2019년 9월 14 ~ 26일 SK 로고가 랜더스가 됐지만 무시하자. 이 때가 한화의 마지막 6연승이었다. 일수로 따지면 내일 기준으로 1,371일이 된다. 당시에는 코로나도 없었고, 저 해 한화는 9위를 했음 감독은 한용덕이었고, 단장은 박종훈, 당시에 김태균은 현역이었기 때문에 한화의 영구결번은 3명이었다. 당연히 1300일도 거의 4년정도 되는 매우 긴 기간이지만, 마지막 5연승과 300일밖에 차이가 나지 않기 때문에 ..
-
기록으로 야구보기 - 평균 자책점, WHIP취미생활/야구 2023. 4. 24. 15:00
평균 자책점이란? 평균 자책점은 투수가 9이닝 동안 투구했을 때 몇 점을 자책점으로 실점하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간혹 방어율이라고도 말하는데, 이는 평균 자책점의 일본식 표현이다. 같은 뜻이니 어떻게 말해도 상관 없지만, 요즘에는 평균자책점을 더 많이 사용하는 추세이다. 영어로는 ERA라고 하는데, Earned Run Average의 약자이다. 그럼 자책점은 뭘까? 자책점은 투수가 책임져야 하는 점수를 말한다. 안타, 희생타, 도루, 야수 선택, 볼넷(고의사구도 포함), 몸에 맞는 공, 보크, 폭투(낫아웃으로 출루시도 포함)으로 출루한 타자가 득점을 기록할 때마다 자책점이 늘어난다. 그러나 자책점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가끔 주자가 있는 상황에서 투수교체가 되고, 안타를 맞아 실점하는 경우가 있는..
-
인필드 플라이에 대하여취미생활/야구 2023. 4. 23. 22:48
야구는 룰이 매우 복잡하다. 실제로 KBO 공식 홈페이지에 가서 룰을 보자. 180페이지가 넘는다. 누가 이런 룰을 만드는 지는 알 수 없으나, 하나 확실한 것은 이 중에 아무런 쓸모가 없는 룰은 거의 없다. 아무리 룰이 이상해보이고, 불합리해보여도 그 규칙이 있을 때의 상황이 없을 때보다 훨씬 낫기 때문에 룰이 존재한다. 혹자는 이 복잡한 룰이 야구의 매력이라고 하지만, 야구를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는 이것보다 더 복잡한 것은 없다. 인필드 플라이는 이 복잡한 룰 중 하나이다. 마침 이 글을 쓰는 날 (23년 4월 23일) 인필드 플라이에 관련한 상황이 경기에서 연출되었기에 살짝 알아보도록 하자. 인필드 플라이란? 노 아웃, 또는 1아웃에서 주자가 1, 2루 또는 만루일 때에 타자가 친 공이 내야수가 잡..
-
기록으로 야구보기 -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취미생활/야구 2023. 4. 21. 21:57
타율? 타율이란 한 선수의 타수 중에 안타를 칠 확률을 말하는 것이다. 흔히 할푼리를 이용하여 말하는데, 할은 10% 단위, 푼은 1% 단위, 리는 0.1% 단위이다. 만약 어떤 타자의 타율이 3할 2푼 3리라면, 그 타자는 32.3퍼센트의 확률로 안타를 친다는 것을 뜻한다. 글로 쓸 때는 .323과 같은 방식으로 기록하기도 한다. 타율을 기록하는 방식은 간단하다. 타자가 전체 타석에 들어간 횟수를 구한다. (타석수) 타석수에서, 희생번트, 볼넷, 몸에 맞는 공, 실책, 주루 방해 등으로 출루한 횟수를 뺀다. (타수) 여기서 안타를 친 타수를 전체 타수로 나누면 그 선수의 타율이 나온다. 타율의 최대는 1.000이다. (100%) 가끔 투수가 타석에 올라오는 경우가 있다. 지명타자가 사라졌기 때문인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