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C언어 코드의 기본적 구조정리노트/C언어 정리노트 2025. 1. 15. 20:21반응형
#include <stdio.h> int main() { printf("Hello, World!"); return 0; }
이렇게 생긴 프로그램을 짜 보았다.
무슨 내용인지는 모르겠지만 잘 작동한다.
파이썬을 학습했다면, printf 안에 들어가는 내용을 출력한다 정도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코드를 한 줄씩 뜯어보면서 C언어 코드는 무엇으로 이루어지는지를 알아보자.
#include <stdio.h>
거의 모든 C언어 파일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줄이다.
stdio.h라는 파일을 include(포함) 한다는 뜻이다.
C언어를 통하여 콘솔에 문자를 출력하거나 입력할 때에 호출되는 파일이다.
printf, scanf와 같은 입출력 함수는 전부 이 안에 들어 있다. 그러므로 호출하지 않는다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stdio.h와 같은 파일을 "헤더 파일" 이라고 부른다.
헤더 파일은 보통 파일의 가장 위에 작성한다.
int main() { }
이 부분에서 main이라는 함수를 정의한다.
C언어는 main 함수를 먼저 실행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 함수 안에 실행할 모든 문이 들어 있다.
함수의 정의에 대하여는 따로 설명할 계획이다.
int 부분은, 함수가 return하는 내용의 자료형이다. int는 integer, 즉 정수를 뜻한다. 자료형에 대한 설명은 나중에 나온다.
printf("Hello World!");
여기부터는 실행되는 것을 우리가 볼 수 있는 부분이다.
printf를 사용하여 정보를 콘솔에 출력할 수 있다. printf에 들어가는 내용은 큰따옴표 안에 적어야 한다.
한 줄의 마지막에는 ;(세미콜론)이 들어가는데, 이는 줄이 끝난다는 것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작성하지 않으면 버그가 발생한다.
꼭 적어 주도록 하자.
단, 예외적으로 함수를 선언하는 int main() 과 같이, 뒤에 {}(중괄호)가 들어가는 경우에는 세미콜론을 작성하지 않는다.
헤더 파일을 include하는 줄에도 작성하지 않는다.
return 0;
return 문은 함수의 끝에 작성한다. 세미콜론이 줄의 끝을 나타낸다면, return 문은 함수의 끝을 나타내는 역할을 하는 셈이다.
기본적으로 0을 출력하며, 이는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일부 함수에서는 정상적이지 못한 종료가 되었을 때에 1을 출력하도록 설계되기도 한다.
return 값으로 정수인 0을 가지기 때문에 main 함수는 int 라는 자료형으로 선언해 주어야 한다.
반응형'정리노트 > C언어 정리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입력 (0) 2025.01.20 3. 출력 (0) 2025.01.16 1. C언어 시작하기 (0) 2025.01.15 0. 비주얼 스튜디오 설치하기 (VS2022) (0) 2025.01.15